1. 사업 개요
1.1. 배경 및 목적
1.1.1. 국립기상과학원은 IPCC 국제표준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생산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국가 탄소중립 및 기후변화적응 정책지원에 기여하고 있음.
IPCC 제4차·5차·6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하여 생산한 시나리오 자료의 종류 및 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장장치의 용량도 급증하였음(4차 35TB, 5차 3.5PB, 6차 42PB). 현재 국립기상과학원은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에
6차 평가보고서 대응 관련, 42PB 규모의 대용량 기후자료 저장장치를 구축하여 활용해 오고 있음.
1.1.2. 향후 제7차 평가보고서(AR7)와 관련된 시나리오 생산량은 기후과정 진단을 위한 다양한 실험의 증가, 지역기후모델 앙상블 수의 증가와 함께
탄소중립 정책지원을 위한 기후실험체계의 운영 등으로 인하여 필요한 저장 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1개월~연 기후전망 등 기후예측시스템 운영 및 기후예측정보 서비스 확대 지원을 위한 스토리지가 요구되는 실정임.
1.1.3. 2017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AR6 기후자료 대용량 저장장치의 노후화로 인하여, 기존에 생산된 자료와 AR7을 위해 생산될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및 기후예측 자료에 대한 대용량 자료 저장 관리를 대비한 스토리지 운영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필요한
노후 저장장치 교체 및 증설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함.
1.2. 사업 개요
1.2.1. 사업명: AR7 기후변화시나리오 및 기후예측 대용량 저장장치 확보전략 수립
1.2.2. 수행기간: 계약일부터 6월 30일까지
1.2.3. 소요예산: 45,000천원 (부가세 포함)
1.2.4. 수요기관/부서: 국립기상과학원 기후변화예측연구팀(서귀포 소재)
2. 사업범위
2.1. 사업 범위
2.1.1. 기상청 기후변화 및 기후예측 분야 연구개발 업무의 중·장기 계획 이행을 위한 인프라(대용량 저장장치 등) 확보전략 수립
2.1.2. 대용량 기후자료 관리 인프라 운영방안 마련
2.2. 사업 세부내용
2.2.1. 대용량 기후자료 관리 인프라 확보 방안 사전 기획
2.2.1.1. IPCC AR7 대응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분석 및 1개월~연 기후전망과 기후예측정보 서비스 확대를 위한 대용량의 저장장치 확보전략 마련
2.2.1.2. 기존 AR6 대용량 기후자료 저장장치 노후화에 따른 교체 및 증설을 위한 전략 수립
2.2.1.3. 기상청 내 대용량 저장장치 확대 계획과의 연계성 및 차별성 분석 포함
2.2.1.4. 전산장비 심의를 위한 사전 기획보고서의 필수 항목[표1]을 준수하여 작성하되, 2024년 전산장비 심의 일정에 따라 보고서 조기 제출
2.2.2. 대용량 기후자료 관리 인프라 운영방안 마련
2.2.2.1. 대용량 저장장치 확보 및 향후 운영과 관련하여 예산 산정 및 확보(안)에 대한 효율성, 적정성 분석
2.2.2.2. 기존 대용량 기후변화자료의 저장 및 새롭게 산출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후예측 자료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한 운영방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