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팅 분야

컨설팅 분야

HOME > 사업실적 > 컨설팅 분야

임상연구 활성화 시스템 정보화전략계획수립(ISP) 사업
등록일
2022.08.09
조회수
245
  • 제목

    임상연구 활성화 시스템 정보화전략계획수립(ISP) 사업
  • 발주기관

    국립재활원
  • 수주일자

    2022.08.09
1. 사업 개요
가. 추진배경 및 필요성

□ 추진배경 및 필요성
  ○ (국립재활원) 국립재활원은 장애인의 일상과 공동체 회복을 돕는 재활전문 국립중앙기관으로 재활병원, 재활연구소, 중앙장애인 보건의료센터와 다양한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
  ○ (재활연구소) 「제2차 장애인복지발전계획」의 일환으로 건립이 추진된 국내 최초의 국립재활연구기관인 재활연구소는 2008년 개소된 이후,
      3개 과(건강보건연구과, 재활보조기술연구과, 임상재활연구과)가 신설되어 장애인 건강증진 및 보건관리 연구, 선도적 임상재활연구 및 테스트베드 역할 수행,
      첨단·실용기술 중개연구 및 자립생활지원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음
 
  ○ (인력, 예산) 개소 이후 재활연구소 인력과 재활연구사업의 예산은 증가 추세로, 수행하는 내부연구과제 및 재활로봇 중개 연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향후 수요 기반의 실용적 연구, 임상 및 중개연구 분야의 확대·강화가 요구되고 있음
  ○ (임상재활연구 로드맵) 디지털 전환기에 맞는 국가임상재활연구데이터 구축 및 임상재활연구 로드맵 수립 필요
      ․디지털전환기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한 보건의료분야 연구도 정밀의료 등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음. 이에 재활연구분야에서도 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4차산업혁명 기술과의 접목을 통한 미래 재활연구 방향 수립이 필요함
  ○ (CDW) 최근 임상학계는 빅데이터 기반의 임상연구정보 서비스체계(CDW: Clinical Data Warehouse)를 구축하여 임상연구 관련 분야 체계적인
      임상정보서비스를 활용하는 추세임
      ※ 2008년부터 재활연구소에서 수행해온 연구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보관하고 재사용 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구축하여 생체계측 데이터,
          인구사회학적 데이터, 라이프로그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는 연구 데이터를 일차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레이크 및 피험자 관리 시스템 구축 필요
  ○ (임상연구활성화시스템 ISP) 재활연구소의 미션, 비전, 핵심가치를 뒷받침할 임상재활연구 로드맵 및 「임상연구 활성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정보화전략 수립이 필요함
  ○ (임상시험심사위원회) 재활연구소 인력 및 연구 확대에 따라, 2013년 설치된 국립재활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NRCIRB)의 업무인 인간대상연구 계획서의 심의,
      조사 및 교육에 수반되는 자원, 인력 및 공간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따라서 IRB 전산화를 통해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하고 심의위원 관리,
        교육에 필요한 시스템 마련이 요구됨
  ○ (연계체계) 재활연구소의 임상연구 시스템, E-IRB를 통해 재활연구소, 재활병원, 장애인검진센터 등 내외부 의료정보 시스템간의 유기적 연계체계 구축 가능
  ○ (정보화) 국내외 공공의료 분야에서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화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연구자원화를 통해 환자 맞춤형 정책 및 서비스 창출
    ※ 차세대 국립병원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해 2019년 8월부터 국립재활원 병원 EMR 등 국립병원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화 전략계획을 수립하고 시스템 구축이 진행되고 있으며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은 정책 및 임상연구시스템(HDW) 1단계 구축(2019.07)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임상연구정보시스템 구축을 진행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