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감리 분야

정보시스템감리 분야

HOME > 사업실적 > 정보시스템감리 분야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감리 수주(공동수급)
등록일
2023.09.11
조회수
299
  • 제목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감리 수주(공동수급)
  • 발주기관

    질병관리청
  • 수주일자

    2023.09.09
I.사업개요
 ○ 사 업 명 :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사업기간 : 계약일로부터 600일 (장기계속계약)

 1.개편의 필요성
  ■ 감염병 대응 체계 측면
    ○ 그간 감염병 정책은 SARS·MERS 등 국소적으로 발생되는 과거 방역 경험에 맞추어 세밀한 확진자 추적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 코로나19(COVID-19)의 경우, 전파율이 높고 장기화됨에 따라 정보 입력의 부담, 적시 통계 자동화 기능 부재로 방역 대응 곤란
    ○ 또한, 생산 정보 수기화(엑셀, SAS 등)로 인해 감염병 분석에 필요한 시간적·인적·물적 자원이 과도하게 투입되는 비효율 발생

  ■ 정보시스템·수요자·사용자 측면
    ○ 現 시스템은 기존 감염병 대응 단계별 시스템 분절로, 개인별 이력 관리 미비 등 감염병 관리 업무 효율성 저하
    ○ 반면, 팬데믹 상황을 겪으면서 시스템의 접속 부하* 미고려, 장비 노후화 등 기존 질병청 시스템만으로 미래 감염병 대응 한계
        *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접속 부하 범부처 공동대응('21.6∼8월),방역패스 접속 부하 비상대응반 가동('21.11∼'22.1월)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 검사 증가에 따른 비상대응반 가동('21.12∼'22.2월)
    ○ 또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DW 또는 빅데이터 플랫폼 부재로, 시계열 변화·추이 등 정보 분석 자동화 기능 전무(全無)
        * 그간에는 관련 정보를 수동으로 내려받아 직접 결합 및 분석하여 소요시간 多
 
 2.사업범위
  ①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감염병 관리 업무 공통 모듈 개발
        - 감염병관리 통합정보지원시스템 및 유관 시스템* 통합 구축
            *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 검역정보시스템
        - 감염병 업무 공통 핵심 기능 모듈화 및 데이터 설계
        - 업무 공통 모듈 적용하여 전수감시 대상* 법정감염병(1~3급)의 공통 신고 기능, 진단 검사 기능, 환자·접촉자 관리 기능 재구축
          * 4급 표본감시 감염병은 별도의 발생 신고 시스템이 존재하며, 집단발생 등의 특수한 경우에만 역학조사, 환자관리 등의 업무 실시
        - 검역소 감염병 관리 업무 기능 통합 구축*
          * 검역정보시스템 기능을 이전하고 통합 DB 사용
        - 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방역물품 등의 보유현황 등록관리 기능* 개발
          * 질병관리청에서 추진 중인 국가비축물자관리시스템 연계 고려
          - 인적정보의 변동(사망, 주민등록번호 변경 등)을 고려한 주체정보 마스터 DB 및 관리 기능을 모듈화 구현

      ○ 메타 기반 신고 및 역학조사 체계 구축
        - 업무 공통모듈과 감염병 별 메타데이터 적용하여 감염병 신고서 및 역학조사서 등록·보고 기능 개발
        - 감염병의 신고 단계부터 역학조사까지 공통 관리되는 메타 데이터 항목을 활용하여 역학조사 업무 지원 기능 개발

      ○ 신종감염병 대응 업무 시스템 구축
        - 선별진료소 운영관리(사전문진, 접수, 검사결과 관리 등) 기능 개발
        - 국가지정병상 및 생활치료센터 병상 배정, 가동 현황관리 기능 개발

    ② 감염병·검역정보 연계 기반 구축
    ○ 감염병 및 검역정보 제공-활용 기관 또는 시스템 간 송수신 인터페이스(전문) 설계 및 표준 API 개발 
    ○ 연계 표준 API를 활용하여 타 부처·기관의 정보를 수집하고, 내부 시스템간 정보 연계
    ○ 기관 또는 시스템 간 송수신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및 검증(Validation Check)으로 연계 지연 속도, 형식 오류, 공백 값, 송수신 시스템 장애 등 체크할 수 있는 기능 개발
    ○ 원천기관 데이터 수집-통합 적재–분석–제공 단계별 데이터 정합성 분석 및 현행화(분기별 정기 대사 및 비정기 대사작업 포함)

  ③ 정보주체 통합채널 구축
      ○ 신속한 감염병 대응을 위한 대국민 감염병 자가관리 서비스용 앱/웹 개발
        - 검역신고, 선별진료소 사전문진 제출 및 접수, 전자역학조사 설문, 자가진단(고위험군, 능동감시 대상자 등), 전자 통지서 확인 등의 기능 구축

      ○ 카카오톡, 네이버 앱, 행안부 국민비서 서비스 등 타 플랫폼을 통한 감염병 자가관리 서비스 연계

  ④ 감염병 관리 통합 인프라 구축 및 클라우드 전환
      ○ G-클라우드 기반 통합 인프라 구축
          - H/W, S/W, N/W 등 시스템 장비* 구축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G-클라우드 위임발주 대상(별도 발주 예정)

          - 클라우드 전환에 따른 AP 개발, 정보연계 재구축, DB이관

      ○ 감염병 데이터 표준화 및 정보보호체계 강화 
          - 감염병 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관리
          - 개인정보 생명주기(수집, 저장, 이용, 제공, 파기)에 따라 정보 관리
          - 개인정보 오남용 및 노출사고, 실시간 모니터링

  3. 기대효과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속·정확하고 체계적인 방역 활동을 위한 효과적인 방역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G-클라우드 전환으로 갑작스런 감염병의 대유행 등 환경변화에 유연한 시스템 운영 가능
        - 개인정보 생명주기별 관리 기준 마련, 개인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등으로 최근 제기된 감염병 관리 업무의 개인정보 보안 이슈 해소

    ○ 대국민 측면
        - 감염병 확산 등 비상상황에서의 감염병정보·검역·예방접종 등 국민을 위한 건강관리 기반 확대로 참여와 소통을 통한 국민의 정책 이해도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