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업 개요
가. 추진배경 및 필요성
❍ 농립축산식품부 및 산하기관 주도 농업 종자에 대한 보급 및 정보제공이 활성화 되고 있으며, 국내 고유 자생식물의 종자에 대한 정보제공 미흡
❍ 생물다양성협약* 의무이행에 따른 국내 자생식물 유전자원의 보존 및 이용의 기반 마련과 국제경쟁력 강화
※ 생물다양성협약: 생물 다양성을 생태계, 종, 유전자 등 여섯가지 수준으로 파악하고 생물 다양성의 보전, 생물 다양성 구성 요소의 지속 가능한 이용,
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손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배분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 조약(유앤환경개발회의, 1993.12.29.)
❍ 세계적으로 자생종의 연구 및 로열티 수입에 대한 중요도 증대에 따른 자생식물 정보 제공 및 품종 보호 강화 증대
❍ 산림청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에 따라 종자·자생식물에 대한 정보 개방 필요성이 높아짐
※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 나무를 심고, 가꾸고, 이용하는 산림의 순환경영과 보전·복원을 통해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4개의 핵심과제 제시(산림청, 21.01.21.)
❍ 종자·자생식물에 대한 정보 제공 및 활용으로 관련 사업 활성화 및 민간 참여 기회 확대
나. 그간의 추진경과
❍ ’17년 산림생물자원관리시스템 구축 사업 수행
❍ ’18년 산림생물자원관리시스템 서비스 개시
❍ ‘18년 ~ ’21년 산림생물자원관리시스템 내 종자정보 및 수목원 식물정보 입력
❍ ’20년 ‘공공데이터 개방 지원사업’ (산림생물자원관리시스템 일부 데이터) 수행
❍ ’21년 ‘공공데이터 개방 지원사업’을 통해 공공데이터 일부 개방
-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수목원 입고 식물목록 데이터 개방
-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수목원 홈페이지 방문 및 예약 통계 데이터 개방
다. 사업범위
1) 연차별 사업내용 : 해당사항 없음
2) 개방전략 수립
❍ 대외 환경 및 내부 환경 분석
❍ 내부 요구 사항 분석 및 목표 모델수립
❍ 이행전략 수립
3) 품질 진단 및 개선
❍ 품질진단 계획 수립 및 이행
❍ 진단결과에 따른 개선 계획 수립 및 이행
❍ 지속적인 품질 관리를 위한 관리체계 수립
4) 데이터베이스 구축
❍ 기관 원천 DB 분석
❍ DB 설계 및 구축
5) 개방DB 구축
❍ 기관 원천 DB 분석
❍ 개방 DB 설계 및 구축
❍ 연계 테스트
6) 오픈API 개발
❍ 시스템 분석 및 환경 분석
❍ API 설계 및 개발
❍ 연계 테스트
7) 기타(장비도입 등)
❍ 기존 내부 하드웨어 인프라 환경(망분리 등)과 정책 호환성 유지
- (내부망) 개방DB 서버, WAS 서버
- (외부망) WEB 서버
라. 기대효과
정성적 기대효과
- 신규 의약품 및 건강식품 개발 등 신규 사업 발굴
- 생물다양성협약 의무이행에 대응한 국가경쟁력 확보
정량적 기대효과
- 식물 및 종자 연구를 위한 시료 확보 시간 및 비용 감소
- 자생식물 활용 상품 개발로 해외 지불 로열티 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