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사업 개요
1. 사업현황
가. 사 업 명 : 감염병관리 통합정보지원시스템 고도화 2단계
나. 사업기간 : 계약일로부터 300일
※ 본 사업은 소프트에어 개발사업 적정 사업기간 산정 기준에 따른 사업임
다. 주관부서 : 감염병관리과
라. 사업금액 : 824백만원(부가세 포함)
2. 추진배경 및 필요성
□ 사람, 동물 및 환경 변화 등 감염병 위협요인 다양화로 감염병 대응에 대한 범정부적 공동대응 필요성 증가
◦ 감염병정보는 상시적인 정보 공유 이외에도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 부처 간 정보
공유가 필요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감염병 분류체계 개편
◦ 법률 개정에 따른 후속조치로, ‘19년까지 환자감시, 실험실감시, 역학조사, 환자관리, 통계 프로그램 등 기준코드
변경 및 화면 구성 등 변경 완료 필요(’20.1.1부터 시행)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18.3월)》
“감염병 분류체계를 현재 질환의 특성별 군(群)에서 위중도·전파력·격리수준을 중심으로 한 급(級)으로 개편”
□ 국가재난안전사업 중장기 계획
◦ 제3차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2015~2019)의 ‘사회재난 분야(감염병)’관리 대책으로서 매년 집행계획을 수립 및 추진 중
□ 국외 주요국 감염병 정보화 정책 동향
◦ (미국)보건안보전략(2009), 생물감시전략(2012), CDC 국제보건전략(2014), 국가안보전략(2015) 등 국가안보 차원에서
감염병 대응전략 수립
◦ CDC 감염병예방 프레임워크(2011), CDC 감시전략(2014) 등을 통해 법정감염감시시스템과 데이터플랫폼 기술
업그레이드 추진
◦ (유럽)EDCD 유럽 국가 및 국제기구들과의 파트너십 강화 전략(2014~2020), 감염병 감시 장기전략(2014~2020) 발표
* 감시시스템 재정비, 데이터의 시각화가 가능한 웹 기반 시스템 개발·제공(2016)
◦ (WHO)감염병 유행 신속탐지, 실시간 경보제공, 공중보건 위기 신속대응을 위해 관련 기관 간 정보공유체계 구축·운영
* 글로벌 유행경보 및 대응 네트워크(Global Outbreak Alert & Response Network)
□ 제2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2018년-2022년) 수립
◦ 중점과제 ‘감염병 대응기술 혁신플랫폼 구축’의 세부과제로서 ‘차세대 감염병 정보시스템 구축’추진 예정
* 제1차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2013년~2017년)에 따라 3단계에 걸쳐
‘감염병관리 통합정보지원시스템’ 구축 완료
□ 4차 산업혁명과 감염병 대응기술 진보
◦ 국가정보화 패러다임이 ‘ICT 중심의 성장·확산’에서 ‘사회 전역에서의 ICT 접목·활용’으로 변화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빅데이터 등으로 촉발되는 초연결 기반 지능화 혁명, 모든 것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 인공지능이 이를 스스로 학습하여 지적 판단기능 수행
□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감염병 조기인지와 대응
◦ 뉴스보도, SNS(소셜미디어),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정보원을 통해 비구조화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감염병 유행 및
위험 탐지* 글로벌 공중보건 정보네트워크(Global Public Health Intelligence Network)
□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R&D 추진
◦ 신변종 감염병 대응 국가방역체계 고도화를 위해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R&D 사업” 추진 예정
◦ 감염병 조기발견 감시·예측모델 개발, 신속 진단기술 확보 및 보호구 국산화, 정보소통체계 개발 연구 지원*
의료공공성 확보 및 환자 중심 의료서비스 제공(복지부) (45-6-2)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방역현장에서
필요한 감염병 현장 대응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