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소방안전정보시스템 2차 구축 감리용역
-
발주기관
소방청
-
수주일자
2019.11.26
1. 사업 개요
가. 추진배경 및 필요성
○ (추진배경) 대형화재 발생 시 신속한 정보전달 및 의사결정 시스템 부재
- 제천⋅밀양 화재와 같은 대형재난을 사전예방하고 재난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종합상황실과 현장간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 대응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이를 위해 화재안전제도와 대응시스템을 근본적이고 면밀히 점검하여
단계별로「범정부적 화재안전특별대책」을 추진
(※ 대통령 지시 : ′18.1.29 수보회의, ′18.1.30 장차관 워크, ‘18. 4월 국무회의)
- 소방대상물 점검결과, 건축물정보, 현장활동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방안전정보시스템이 없어 신속한
현장대응과 의사결정 지연으로 피해 발생
- 건축물의 노후화*로 위험 증가 * 전국 건축물(700만동) 중 20년 이상 56%(400만동), 30년 이상 35%(250만동) 차지
- 자체점검 허위보고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하므로 자체점검 후 불시 점검이 필요하며, 관계인 책임소재의 확실한
구분이 필요(‘18년 행안위 국정감사)
○ (필요성) 현장대응 및 화재예방을 위한 소방안전정보시스템 고도화 필요
- 현장대응과 화재예방을 위한 건축물* 안전정보 수집·저장·통합·추출할 수 있는 건축물 소방안전정보시스템 구축
*연 7만건 증가 : (’00년 : 592만)→(’05년 : 637만)→(’10년 : 667만)→(’15년 : 699만)
- 소방대상물 점검 및 현장활동, 외부기관의 시설물 점검정보 등의 종합적인 정보를 통한 화재예방 및
화재안전정책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필요
○ (추진목표) 1차 사업의 연속성 확보 및 구조·구급 확장, 통합 소방안전 확대 구축
- 구조·구급, 생활안전을 포함한 통합 소방안전정보 DW/DM/BI/연계 확대 구축 (22개 시스템 확대, 총 33개)
*신고 채널/매체 데이터는 긴급구조표준 정보로 대체하여 총 21개 시스템 데이터 통합
- 소방안전정보 인프라 강화(증설 및 관리기능 구축) 및 빅데이터 기반 분석 프레임워크 도입
- 예방활동, 현장대응, 정책결정 등의 지원/활용 체계 수립, 통계/분석 모델링 컨설팅
나. 서비스 내용
○ (`18년도 1차 사업) 소방안전정보 분석 기반 구축 (‘18.10.23. ~ ’19.4.21.)
- `18년도 화재안전 특별조사 결과 데이터(17.2만건) 수집 및 분석 구축
- 건축물(700만건) 및 소방대상물(200만건) 중심의 소방안전정보 예방분야 분석 기반 구축
○ (`19년도 2차 사업) 소방안전정보 분석 확대 구축 및 통합 데이터 분석 체계 구축
- `19년도 화재안전 특별조사 결과 데이터(38.2만건) 수집 및 분석 구축, 안전점검 표준화 구축
- 소방청 소방정보시스템 데이터 통합 DW/DM/BI/연계 확대 구축(22개 시스템 확대, 총 33개)
- 소방안전정보 인프라 강화(증설 및 관리기능 구축) 및 빅데이터 기반 분석 프레임워크 도입
- 예방활동, 현장대응, 정책결정 등의 지원/활용 체계 수립, 통계/분석 모델링 컨설팅